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Book Review : 책 [물리학자처럼 영화 보기]

by hyemhyem 2022. 8. 19.

#책[물리학자처럼 영화 보기] by 다카미즈 유이치 #애플북스출판사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SF 영화 속 과학 이야기 #hyemhyem


#책[물리학자처럼 영화 보기]

  한 달 전, 나사에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공개했었다. 우주, 물리에 대한 지식은 많이 없지만 사진을 보고 놀랄 수밖에 없었다. 솔직히 이미지적으로 우주의 신비로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어서 아름다워 보였다. 이후에 이 사진이 무엇을 알려주는지 많은 이들이 유튜브나 블로그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식이 없는 나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얼마 전 한국에선 누리호 발사에 성공했다. 이 사건도 성공 이후 많은 채널에서 다뤄지는 것을 보았다. 이때도 항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많지 않은 나였지만, 쉽게 설명해주는 전문가들의 설명에 이해할 수 있었고 이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과학이란, 물리란, 우주란 나에게 복잡하고 머리 아픈 고도의 학문으로 느껴진다. 사실 수능을 앞누며 난 문과로 사회탐구를 선택했기 때문에 과학 공부를 거의 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과학적 지식이 부족하기도 하고 누군가 설명하면 이해하기 힘들고 머리 아픈(?) 걸로 치부해 책을 읽을 때도 과학분야는 손이 가지 않았었다. 그래도 세상을 살면서 궁금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현상에 대해 과학적으로 해결해 보는 그런 과정을 겪는 것 또한 하나의 경험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종종 들긴 했었다.

  이 생각이 이번 책을 통해서 만나게 된 게 아닐까. 책[물리학자처럼 영화 보기]의 저자 다카미즈 유이치는 와세다 대학교 이공학부 물리학과를 전공하며 이후로 연구원으로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그가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 주고 싶은 목적은 물리학을 향한 입문 단계를 소개해주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의 말대로 SF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쉽게 풀어주어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고 또 그의 설명으로 내가 본 다른 SF 영화를 떠올리기도 했다. 이 책은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선 시간여행에 대해서 2부에선 우주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시공간을 다르게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의 구성으로 등장하는 영화 모두를 보진 않았지만 유명한 영화로 설명해주어 이후 따로 영화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어준다. 그리고 물리학, 과학 등이 내 인생에서 얼마나 차지할까를 생각해보면 전엔 전혀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앞으로의 지구 환경이 어떻게 변할지 두려운 상황과 현실에 안주하기보다 더 고차원적이고 다층적인 무언가를 더욱 원하고 있음을 전 세계가 보여주는 듯하다.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콘텐츠를 보면 엄청나게 다양하고 거의 무수히 쏟아있고 있다는 걸 느끼는데 그중 과학적인 근거를 가진 소재로 생성되는 콘텐츠가 전보다 많아지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걸 통해서 사람들이 더욱이 궁금증을 유발하고 새로운 것을 찾기 원하는, 지금 살고 있는 세계에 만족하지 못하다는 걸 이야기해주는 것 같다. 어쨌든, SF 영화에 관심이 있거나 물리학 입문으로 가볍고 영화라는 예를 통해서 영화에 대한 재미까지 얻고 싶은 독자가 있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기억에남는문장

유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과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의 눈앞에서 마술사가 교묘한 손놀림으로 마법을 부린다고 하자. 그것이 진짜인지, 그저 가짜 사기꾼인지를 꿰뚫어 보는 것, 그것이 과학이다.”

출처를 잊어버려서 정확한 표현은 쓰지 못하지만 전체적인 의미는 이런 것이었다. 과학이라는 지식은 그야말로 이런 오컬트가 진짜인지 아닌지를 검증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는 것이다.
- 12장 ‘우주인의 시력’과 ‘항성’의 밀접한 관계, 211p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이야기하지만, 단순히 오락 작품으로 SF를 즐기는 것 외에 일정한 과학 지식을 갖고 작품을 곱씹어 보면 나름의 새로운 해석이나 발견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각적으로 작품을 즐기기 위한 도구로서 과학적 시점을 갖고 SF 작품을 감상해보면 훨씬 심오한 즐거움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맺음말, 213p

*애플북스를 통해 도서 지원을 받았습니다.

 

 

0123